페이지_배너

소식

인터페론은 바이러스가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체내 후손에게 분비하는 신호이며,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선 역할을 합니다. 1형 인터페론(알파 및 베타 등)은 수십 년 동안 항바이러스제로 연구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1형 인터페론 수용체는 여러 조직에서 발현되기 때문에 1형 인터페론 투여 시 신체 면역 반응의 과민 반응을 유발하여 일련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형 인터페론(λ) 수용체와 3형 인터페론 수용체의 차이점은 3형 인터페론(λ) 수용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작용하는 폐, 호흡기, 장, 간과 같은 상피 조직과 특정 면역 세포에만 발현되므로 인터페론 λ는 부작용이 적다는 것입니다. PEG-λ는 천연 인터페론 λ를 기반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변형되었으며, 혈중 순환 시간이 천연 인터페론보다 훨씬 깁니다. 여러 연구에서 PEG-λ가 광범위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 4월 초,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 그리고 기타 연구 기관의 과학자들은 J Exp Med에 코로나19 치료에 인터페론 λ를 사용한 임상 연구를 권고하는 논평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간담도센터 소장인 레이몬드 T. 정 또한 5월에 코로나19에 대한 PEG-λ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자 주도 임상 시험을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두 건의 2상 임상시험에서 PEG-λ가 COVID-19 환자의 바이러스 부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습니다[5,6]. 2023년 2월 9일,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EJM)은 브라질과 캐나다 학자들이 주도한 TOGETHER라는 3상 적응형 플랫폼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임상시험에서는 COVID-19 환자에 대한 PEG-λ의 치료 효과를 더욱 자세히 평가했습니다[7].

급성 코로나19 증상을 보이고 증상 발현 7일 이내에 내원한 외래 환자는 PEG-λ(180μg 단일 피하 주사) 또는 위약(단일 주사 또는 경구)을 투여받았습니다. 1차 복합 결과는 무작위 배정 후 28일 이내(관찰 시간 6시간 이상) 코로나19로 인한 입원(또는 3차 병원으로의 의뢰) 또는 응급실 방문이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발병 이후 변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PEG-λ가 다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에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것이 특히 중요합니다. 연구팀은 이 임상시험에서 환자를 감염시킨 오미크론, 델타, 알파, 감마 등 다양한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하위군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그 결과, PEG-λ는 이러한 변이에 감염된 모든 환자에게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오미크론에 감염된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이었습니다.

사진_20230729134526

바이러스 양 측면에서, PEG-λ는 기저 바이러스 양이 높은 환자에서 더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보인 반면, 기저 바이러스 양이 낮은 환자에서는 유의미한 치료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효능은 화이자의 팍슬로비드(네마토비르/리토나비르)와 거의 동일합니다.

팍슬로비드는 5일 동안 하루 두 번, 3정씩 경구 투여됩니다. 반면 PEG-λ는 팍슬로비드와 동일한 효능을 얻기 위해 단 한 번의 피하 주사만으로 투여되므로 순응도가 더 높습니다. 순응도 외에도 PEG-λ는 팍슬로비드에 비해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팍슬로비드는 약물 상호작용을 일으키기 쉽고 다른 약물의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령 환자나 만성 질환 환자와 같이 중증 코로나19 발생률이 높은 사람들은 장기간 약물을 복용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환자군에서 팍슬로비드의 위험성은 PEG-λ보다 상당히 높습니다.

또한, 팍슬로비드는 바이러스 단백질 분해효소를 표적으로 하는 억제제입니다. 바이러스 단백질 분해효소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약물 효과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PEG-λ는 신체의 자가 면역을 활성화하여 바이러스 제거 효과를 향상시키며, 바이러스 구조를 표적으로 삼지 않습니다. 따라서 향후 바이러스가 추가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더라도 PEG-λ는 효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진_20230729134526_1

그러나 FDA는 PEG-λ의 긴급 사용을 승인하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이는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의 실망을 샀습니다. 아이거는 이 연구가 미국 임상시험 센터를 포함하지 않았고, 제약 회사가 아닌 연구자들이 임상시험을 시작하고 진행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결과적으로 PEG-λ는 미국 시장에 출시되기까지 상당한 자금과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할 것입니다.

 

광범위 항바이러스제인 PEG-λ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표적으로 삼을 뿐만 아니라 다른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신체의 제거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EG-λ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및 기타 코로나바이러스에 잠재적인 효과를 보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λ 인터페론 약물을 조기에 사용하면 바이러스의 체내 감염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했습니다. TOGETHER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의 면역학자 엘리너 피시는 "이러한 유형의 인터페론은 예방적, 특히 발병 시 고위험군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게시 시간: 2023년 7월 29일